엔트로피의 일반적인 정의는 물질계의 열적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
이다.이론적으로는 물질계가 흡수하는 열량 dQ와 절대온도 T와의 관계는 다
음과 같다.
dS =dQ/T (1)
식(1)에서 dS는 물질계가 열을 흡수하는 동안의 엔트로피 변화량이다[7].열기
관의 효율을 이론적으로 계산하는 이상기관에서는 모든 과정이 가역과정이므
로 엔트로피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일반적으로 현상이 비가역 과정인 자연적
과정을 따르게 될 때에는 이 양은 증가하고 자연적 과정에 역행할 때에는 감
소하는 성질이 있다.즉,자연현상의 변화가 자연적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로 다루어진다.어떤 상태에 대한 엔트로피는 그 상태에 대한
확률의 척도일 뿐 아니라,그 상태에 대한 무질서함의 척도이기도 한다.어떤
계의 무질서한 상태에 해당하는 분자들의 배열 방법 수는 매우 많고 그에 대
한 확률이 큰데 반해,질서가 있는 상태에 대한 배열 방법 수와 그 확률은 극
히 작기 때문이다.다시 말하면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는 분자운동이 확률이
적은 질서 있는 상태로부터 확률이 큰 무질서한 상태로 이동해 가는 자연적
현상으로 해석된다.즉 열이 발생하는 것은 역학적 운동(질서 있는 분자운동)
이 열적운동(무질서한 분자운동)으로 변하는 과정이며 고온 물체에서 저온 물
체로 열이 이동하는 것은 국부적으로 분자운동에 개별성이 있다고 하는 질서
있는 상태에서 분자운동이 균일해지는 무질서 상태로 이동해 가는 것이다.이
들은 어느 경우나 엔트로피가 증가하지만 그 반대의 과정은 무질서에서 질서
로 옮겨가는 것이며 이 과정은 자발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일반적으로 열역
학적 확률의 최대값은 온도가 균일한 열 평형상태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고찰
하고 있는 물질계가 다른 에너지의 출입이 없는 고립계인 경우에는 전체가 열
평형에 도달하여 모든 열 과정이 정지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엔트로피 움직임에 대한 고무사슬은,응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탄성체는 비
결정이고 엉킨 형태의 분자 사슬로 구성되어 있다.인장응력이 가해져 탄성변
형이 발생하는 것은 엉킨 부분의 일부분이 풀려서 응력 방향으로 늘어난 것인
데 응력을 제거하면 사슬은 원래의 구조대로 되돌아오고 재료의 거시적인 형
태는 원래의 현상을 회복한다.탄성 복원력의 원동력은 엔트로피라고 하는 열

역학적 인자이다.엔트로피는 계의 무질서인데 무질서함이 증가할수록 그 값
이 증가한다.탄성체가 당겨지고 사슬들이 곧바로 펴지고 좀 더 정렬되면 계
의 엔트로피가 감소한다.이러한 상태로부터 사슬이 원래 엉킨 상태로 되돌아
오면 엔트로피가 증가하게 된다.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추천(로그인 필요없음) 한번 꾸욱!!

1초의 선택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 카본블랙(carbon black) 이란?  (0) 2012.11.01
[이론] 실리카란??  (0) 2012.11.01
[이론] 에너지 탄성과 엔트로피 탄성  (0) 2012.10.10
[이론] 고무구조와 탄성  (0) 2012.10.10
20대 파워 재테크 20계명  (0) 2012.10.02
Posted by Mr크리스티앙 :

 

고무의 기계적물성을 증가시키는 보강제로써 가장 일반적인 물질이 카본블
랙이다.카본블랙은 탄화수소를 불완전 연소시키거나 열분해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고무의 보강효과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를 가능한 작게
하고,비표면적을 크게 하거나 고무와의 높은 친화성,균일한 분산을 얻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입자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관능기인 카르복실
(R-COOH),하이드록실(R-OH),퀴논 및 락톤기등이 많이 존재하게 하여 고무
분자와의 상호작용이 강하고 보강성을 나타나게 할 수 있다.
고무의 배합거동은 고무의 종류,배합,배합조건에 따라 변하지만 가장 중요한
물성은 카본블랙의 표면적과 입자구조 그리고 pH 등이다.표면적이 작을수록
고무와의 혼합이 빠르지만,분산의 과정에서는 표면적이 큰 카본블랙이 더 우
수하다.pH는 고무산업에서 사용되는 가황촉진제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산성의 카본블랙은 가황을 억제시키는 반면,알카리성은 가황공정을 촉진시킴
으로써 초기 가황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한다.표면적은 카본블랙의 강화
물성과 가장 큰 관련을 가지고 있다.카본블랙의 표면적이 커질수록 내마모성
은 향상되나 고무와의 혼합공정 시간과 혼합을 위한 동력소비량은 급격히 증
가한다.세 번째 물성은 탄소가 응집된 정도를 나타내는 입자의 구조특성이다.
구조가 잘 발달된 카본블랙을 사용할 경우 탄성계수,강도 및 압출성 등의 물
성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초기 가황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공정의 안정적 운용
에는 나쁜 영향을 미친다.합성고무에 있어서 구조가 발달된 카본블랙을 사용
할 경우 고무와 카본블랙 혼합물의 점도(Mooney점도)가 높아지게 된다.이
경우 혼합물에 첨가되는 오일(Extending Oil)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고 결과적
으로 전체적인 원료비 부담은 줄어들게 된다.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추천(로그인 필요없음) 한번 꾸욱!!

1초의 선택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Posted by Mr크리스티앙 :

[이론] 실리카란??

2012. 11. 1. 08:08 from ★Study★

 

실리카는 카본 블랙과 함께 중요한 보강제로 사용되고 있다.이러한 실리
카는 모든 형태의 금속 실리케이트를 총칭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규
소 산화물에 국한된 명칭이며,이는 이산화규소뿐만 아니라 결정 구조상4~6
개의 산소 원자로 둘러싸인 모든 형태의 규소 산화물을 지칭하는 것이다.실
제 실리카를 사용한 타이어의 성능은 카본블랙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회전저
항의 감소로 인한 저연비와 젖은 노면에서의 조종이 우수한 반면,높은 재료
비,배합 공정율 증가,가공속도 저하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
다.
실리카는 표면에 많은 하이드록실(-OH)그룹을 가진다.이로 인해 5~7%
의 수분을 결합 또는 흡착하고 있으며 높은 극성도와 친수성을 띄고 있다.따
라서 강한 충전제-충전제 상호결합에 의해 고무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며,수소
결합에 의한 극성 물질의 흡착과 재응집 반응이 야기되면서 컴파운드의 점도
가 상승하게 된다.또한 실리카를 함유한 미가황 고무는 점도가 상승하고 분
산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등의 단점을 갖고 있다.이러한 특성은 고무 컴파운
드와 실리카 사이의 낮은 분산력을 야기하게 된다.실리카와 고무와의 상용성
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실란 커플링제로 실리카의 표면을 처리
하거나 고무에 커플링제를 직접 혼합하여 고무와 실리카 사이의 화학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실란 커플링제를 이용한 경우 실리카 표면의 -OH
기와 반응하여 실리카의 표면성질을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바꾸어 고무 내
분산성을 향상시킨다.고무 분자의 이중결합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배합고무
의 모듈러스를 증가시키지만,배합과정 중 황 결합이 분해되어 고무분자와 반
응하므로 배합온도의 상승을 억제해야하고 두단계로 나누어 배합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낮아진다.또한 배합이나 가황 중 알코올이 생성되어 배합고무의 균
일성을 저하시키고 작업환경이 나빠진다.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실리카의 비표면적을 크게하고,친수성인 표면을 고무와의 상용성이 향상되도
록 물리,화학적 방법으로 개질시켜야 한다.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추천(로그인 필요없음) 한번 꾸욱!!

1초의 선택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Posted by Mr크리스티앙 :

에너지 탄성이란 작은 변형이 발생할 때 분자결합을 축으로 회전이 일어나고 결합각과 결합길이가 변함에 따라 유발되는 저장 에너지를 말한다.즉,내부 에너지가 달라진다는 의미는 새로운 결합의 생성이나 파괴,분자간 거리의
변화에 따라 vanderwalls힘에서 위치에너지의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 재료의 경우 응력에 의해 원자간의 거리가 아주 작게 변한 경우는 응력제거 시 탄성성질에 의해 회복이 가능하지만,이 이상의 변형을 받게되면 원자간 거리가 증가되어 소성흐름에 의해 영구변형이 생기거나 파괴로 이어진다.따라서 에너지 탄성이란 사슬분자간에 작용하는 에너지 보다는 한 사슬 내에서 작용하는 원자들간의 발생하는 에너지 이다.
이에 반해 엔트로피 탄성은 물질의 상태를 나타내는 의미로써,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의 배열이나 질서의 정도를 나타낸다.이는 열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힘으로써,불안정한 사슬의 배열상태가 평형적이고 안정한 상태로 할 때

엔트로피는 증가하게 된다.즉,분자사슬에 외력이 가해질 때 엔트로피가 감소하게 되며,외력을 제거하면 자발적인 과정에 의해 엔트로피가 높은 원래의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엔트로피 탄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림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고분자 사슬에 인장력을 가할 때 사슬의 엔트로피 변화를 살펴보면,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고분자 사슬은 무질서 하게 뭉쳐진 형태를 가지며 여러 가지
형태를 지닐 수 있다.하지만 응력이 가해짐에 따라 분자사슬들이 재배열을 통하여 감소된 엔트로피의 형태 즉,신장방향으로 사슬이 배열하게 된다.그러나 인장력이 제거되면 열역학적인 원칙에 의해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인

고분자 사슬이 무질서하게 움직이게 된다.따라서 분자 사슬들이 재배열 되기 전의 모습을 회복하게 된다.

고무탄성은 에너지 탄성과 엔트로피 탄성으로 구성되어 있다[6].고무는 분자사슬들이 서로 가교된 구조이기 때문에 외력을 가하면 얽힌 사슬이 풀리면서 매우 쉽게 늘어나게 된다.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원자들간의 결합길이나
결합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단지 엔트로피만이 감소하게 된다.하지만 외력을 제거하면 고무는 엔트로피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그러나 변형이 크게 일어나서 더 이상의 신장이 어려운 상태,즉 가교결합에 의해 연결된 사슬분자들이 더 이상 풀리지 못한 상황에서는 엔트로피의 변화보다는 원자 결합각이 늘어나게 될 것이다.따라서 이 때 외력을 제거하면 처
음 잠깐 동안에는 에너지 탄성이 작용하고,그 후에는 엔트로피 탄성이 작용하여 고무가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고무에 일정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가열하면 사슬형태의 경우의 수가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따라서 [그림 2.2]의 오른쪽 형태의 사슬이 왼쪽 형태의 사슬로 수축되기 때문에 고무가 줄어들게 된다.또한 고무를 순간적으로 신장시키면 사슬형태의 경우의 수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엔트로피가 감소하게 되므로 열이 발생하
게 된다.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추천(로그인 필요없음) 한번 꾸욱!!

1초의 선택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 카본블랙(carbon black) 이란?  (0) 2012.11.01
[이론] 실리카란??  (0) 2012.11.01
[이론] 고무구조와 탄성  (0) 2012.10.10
20대 파워 재테크 20계명  (0) 2012.10.02
고무 구조와 특성  (0) 2012.10.02
Posted by Mr크리스티앙 :

[이론] 고무구조와 탄성

2012. 10. 10. 08:28 from ★Study★

고무는 유연하고 긴 고분자사슬들로 이루어져 있다.이 사슬들은 화학적
결합과 물리적 결합에 의한 망상구조로서 연결되어 있다.이는 사슬의 유연성
과 유동성이 높은 변형성과 관계되는데 외부 응력에 의해 고분자 사슬이 변형
될 때 사슬이 높은 유동성을 가진 형태이면 외부의 변형에 대해 즉각적인 반
응을 보이게 된다.
응력 하에서 사슬들의 흐름성을 방지하여 고체 같은 성질을 유지하려면 고
무 탄성재료는 망상구조를 가져야 한다.이러한 고무분자구조에 의해 본래의
길이보다 수배까지 파열됨이 없이 늘어나는 성질을 지니게 되고 응력이 제거
되었을 때 자유변형이 없이 완전에 가까운 회복능력을 보이게 된다.
과도한 인장 또는 변형될 경우에 따라서는 약간의 영구변형을 발생할 수도 있

지만 원래 길이에 대한 이 비율은 대단히 미미하다.
이 같은 고무탄성은 기계적 성질 측면과 분자구조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
다.
먼저 기계적 성질 측면에서의 특징은 인장을 가하면 열을 발생하면서 쉽게 늘
어나고,인장을 제거하면 열을 흡수하면서 수축한다.또한,일정한 하중을 가
한 상태에서,가열하면 수축되고 냉각시키면 늘어난다는 것이다[4].
두 번째로 분자구조 측면에서의 특징은 고무탄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자구조는
첫째는 분자량이 큰 고분자이어야 한다는 것이다.고분자 분자량의 증가는 분
자사슬의 얽힘과 비례관계가 있고,분자사슬의 끝수와는 반비례적인 관계에
있다.이는 분자척도로 볼 때 분자 중 가장 약한 위치는 공유결합력이 없는
사슬의 말단이기 때문에 무한히 큰 분자량에서는 사슬의 말단이 줄어들어 강
도가 커진다는 점이다.
즉,물리적 특성의 대부분이 고분자의 분자량에 의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분자량의 증가와 더불어 신장비도 커지며,강도 또한 증가한다.
그러나 가교된 고무는 가교밀도가 가도하게 커지면 오히려 신장비가 작아지며
더 이상 강도가 증가하지 않는다.즉 최대 강도를 나타내는 적정 가교점간 분
자량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그 대표적인 현상으로는 물리적 사슬결합
인 얽힘 현상이다.이 얽힘으로 외력에 대한 고분자의 흐름특성이 지연되고
큰 탄성회복거동을 보이게 된다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추천(로그인 필요없음) 한번 꾸욱!!

1초의 선택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Posted by Mr크리스티앙 :

 

20대 파워 재테크 20계명


1. 시간 날 때마다 과 가까이 하라
2. 자기 일에서 프로가 되어라
3. 테이크아웃 커피 마시는 횟수를 줄여라
4. 통신요금에 예민해져라
5. 마이너스 통장을 만들지 마라
6. 은행을 자주 찾아가라
7. 한 살이라도 젊을 때 주택청약통장에 가입하라
8. 재테크 전문가들과 친해져라
9. 남들 따라 투자하지 마라
10. 가계부나 현금흐름표를 통해 한달 지출은 반든시 결산하고 넘어가라
11. 하루빨리 종자돈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라
12. 우량주가 포함된 적립식 펀드에 가입하라
13. 100만원 이하의 소액으로 투자를 시작하라
14. 부동산만이 최고라는 고정관념을 버려라
15. 투자를 할 때는 안전성보다는 '수익성'에 중점을 두어라
16. 영화나 미술품도 투자의 관점에서 감상하라
17. 채권의 종류별 특징을 파악하라
18. 보험은 변액보험으로 가입하라
19. 첫 번째 내 집 마련은 아파트로 시작하라
20. 인생 계획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라

Posted by Mr크리스티앙 :

고무 구조와 특성

2012. 10. 2. 12:47 from ★Study★

고무는 꼬불꼬불한 고분자의 선상 중합체이므로 결합된 분자들이 서로 엉
키어 있으며 물이나 기름과 같이 유동되지 않고 상온에서 고체이다.
그러나 천천히 힘을 가하면 이 결합이 풀리고 분자간에 미끄러짐이 일어나면
서 고무의 전체길이는 늘어나지만 힘을 제거하더라도 종종 늘어난 채 원래대
로 돌아가지 않는다.이러한 변형을 소성변형(plasticdeformation)이라고 부른
다.그러나 분자간에 화학결합을 형성시키는 가교공정을 행함으써 엘라스토머
가 되며,인장력을 가하면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했을 때 원래의 상태로 돌아
가는 탄성변형(elasticdeformation)이 가능해 진다.
고무상 영역에 있는 고무를 가열하면 분자운동이 일어나 유동하기 시작한다.
반대로 온도를 내리면 분자간 상호작용이 생겨 고무의 Young탄성률이 높아지
면서 분자운동은 동결상태에 이르게 된다.이때 온도를 유리전이온도 Tg라고
부른다.
고분자가 고무로서 거동하기 위해서는 분자회전이 용이하고 분자간의 상호
작용이 낮고 분자회전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적고 가교가 가능한 작용기를 지
니고 있어야 한다[1].

고무제품을 만들 때 원료고무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재료를 일반적으로 배
합제라고 한다.원료고무 및 배합제의 선택에 따라 가공성능,제품성능 및 가
격이 결정된다.원료고무의 기본적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배
합제를 넣은 처방을 기초배합이라 부른다.기초배합에 첨가제를 넣어 물성을
향상시키고 가공성능을 개량하거나 가격을 인하 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기초배
합과는 다른 배합설계를 하는 것을 실용배합이라고 한다[2].
배합제는 일반적으로 그 효과에 의해 분류가 된다.원료고무의 요구물성을
확보하고 외부환경에 대한 안정성과 필요로 하는 기능성을 부여하고 가격절감
을 목적으로 배합설계를 할 수 있다.
[그림 2.1]은 배합설계에 대한 구체적 도표이다.
가.노화방지제 :외부환경에 대한 안정성을 부여(오존,산화방지제)
나.가황,촉진제 :분자간의 결합을 일으켜 탄성을 가짐
다.기능 첨가제 :필요목적에 따라 첨가함(가소제,착색제,가공조제)
라.보강제,충진제 :물성 증대와 단가 인하(카본블랙

Posted by Mr크리스티앙 :

탁도 측정에 의한 입자 크기

황정현, 박기훈, 전국진, 유상일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전공 물리화학실험 야간 2

 

 

실험목적

 탁도 측정으로 입자의 크기를 알아보자.

-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탁도를 측정.

-밀도를 계산하여 부피분율을 알아보자.

-부피분율을 이용하여 specific turbidity를 알아보자.

- 입자의 직경 D를 알아보자

이론적 배경

1.    탁도(turbidity) τ 와 흡광도 A

탁도(turbidity) τ와 흡광도 A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Io는 입사광의 세기, It는 투과광의 세기, l cell에서의 beam path length(cm)이다. 탁도 τ는 단위 광학길이(optical path: cm)당 흡광도로 해석가능하다.

특히 specific turbidity는 “농도를 고려한 탁도”, 즉 “양으로 나누어준 탁도”라는 의미로써 농도는 양을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입자의 크기를 구하는 식에서는 탁도를 입자의 부피분율로 나누어 준 값인 이 주로 사용되며, 특히 단분산(monodisperse)의 구형(sphere) 입자에서는 그  복잡한 이론적 관계식이 아래와 같이 비교적 단순하게 표현될 수 있다.

위의 식에서  D는 입자의 지름을 뜻하며 K는 산란효과를 보여주는 항으로 입자의 지름과 용액내의 파장과의 비(=D/λm), 입자의 굴절율과 용매의 굴절율과의 비 값 m( m=np/nm)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다. 여기서 λm은 진공에서의 파장  λo을 용매의 굴절율 nm로 나누어 준  λo/nm으로 얻어진다. 특별히 지름과 파장과의 비에 원주율을 곱하여준 a 파라미터를 많이 사용되는데 즉  a=πD/λm 로 정의된다.

 

특히 a1  ma1이 성립되는 조건하에서는  K는 다음과 같이 더욱 더 단순화 할 수 있다.

따라서 specific turbidity는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다.

 

 

4. UV-Visible Spectrophotometer

기구 및 시약

기구

시약

큐벳 cell(1cm*1cm)

spectrophotometer

polystyrene latex: PS Latex

     큐벳 sell            spectrophotometer

실험방법

폴리스틸렌 라텍스(polystyrene latex: PS Latex)로 직경 100nm, 직경 200nm, 직경 300nm 3종류를 준비한다. PS latex 용액(보통 많은 경우 1wt%의 수용액으로 판매)의 기본 물성은 직경에 무관하게 밀도 ρ=1.05g/cm3, 굴절율(@589nm) np=1.59로 주어진다. 참고로 물의 굴절율은 nm=1.333으로 계산한다.

 

일반적으로 latex 수용액을 100배 묽혀 0.01wt%인 용액을 만든 뒤

파장 900nm에서 600nm 까지는 50nm 마다, 600nm에서 300nm까지는 100nm 마다 흡광도를 측정한다.

 

1. 농도 0.01wt% latex의 밀도를 이용하여 부피푼율로 환산하여라.

 

2. 실험으로 얻어진 흡광도 A를 탁도 τ로 바꾼 후 (i)에서 구한 부피푼율 Φ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specific turbidity 로 환산하여라.

 

3. 각 파장에서 구한 값을 X축을 1/λo4 Y축을 로 하여 plot 하여라.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될 것으로 예측되나 곡선으로 나오면 그이유가 무엇인지 토의하여라.

 

4. 초기 직선 부분만의 기울기로부터 입자의 직경 D를 계산하여 보고, latex 메이커에서 제공한 값과 비교 검토하여라.

Reperence

Skoog 2,  Fundamental of analytical chemistry 7, 자유아카데미, 2000

Daniel C. Harris,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자유아카데미, 1994

ㆍ 이화학사전 제5, 대광서림, 2001 4 30

Rubinson 1, Contemporary instrumental analysis, 녹문당, 2002

ㆍ 두산세계대백과(네이버검색)

ㆍ 머크사 홈페이지 - http://pb.merck.de


Posted by Mr크리스티앙 :

고체의 용해도

황정현, 박기훈, 전국진, 유상일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물리화학실험 야간2

 

목적

1.     온도 변화에 따른 옥살산의 용해도 변화를 측정

-포화용액을 이해한다.

-Van’t Hoff Eq를 이해한다.

-포화용액에서의 미분 용해열을 계산한다.

이론적 배경

1.   용해도

일정한 온도에서 용매 100g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최대량으로 용질의 그람수(g)로 나타낸다.

같은 용매에 녹이더라도 용질의 종류에 따라 녹을 수 있는 양은 서로 다르다. 또한 같은 용질이라도 용매의 종류에 따라 녹을 수 있는 양도 다르다. 또 온도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따라서 용해도를 알기 위해서는 '어떤 용매에', '어떤 용질을', '몇 도의 온도에서' 녹였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보통은 용매로서 물을 사용한다.

용해도는 보통 용매 100g에 대해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그람수(g)로 나타낸다.예를 들어, 용질 A 20℃에서 물 150g에 녹였더니 15g까지 녹고 그 이상을 넣으면 가라앉았다고 할 때, 용질 A 20℃에서

15 : 150 = x : 100,

x=10,

따라서 용해도는 10이다.

또 만약 20℃에서 용해도가 20인 용질 B, 20˚C에서 물에 최대한 많이 녹여 180g의 용액을 만들었다고 할 때, 물과 용질 B는 전체 용액 속에 각각 몇 그람씩 섞여 있는 것인지 알아보자.

물의 양을 x, 용질 B의 양을 y라 하면,

x + y = 180   ->    x = 180 - y, (물의 양과 용질 B의 양을 합하면 180g)

20 : 100 = y : x  -> 20 : 100 = y : 180 - y,

100y = 3600 - 20y,

y = 30

따라서 물 150g에 용질 B 30g이 녹아있는 용액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질을 용매에 직접 녹여가면서 용질의 용해도를 알아낼 수 있으며, 용해도를 알고 있는 용질의 경우 포화 용액 속에 용질이 몇 그람 포함되어 있는지도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극성 용질은 극성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고, 비극성 용질은 비극성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다. 또 온도 뿐 아니라 압력에 의해서도 용해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대기압에서의 용해도를 말한다.

 

 

2.   포화용액

 어떤 온도에서 순수한 고체물질이 그 용액과 평형에 있을 때의 용액.

일정 온도에서 일정량의 용매에 용질이 최대한 녹아, 더 이상 녹을 수 없는 상태의 용액을 가리킨다. 특히 물질의 용해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포화용액을 말할 때는 온도를 언급해야 한다.

 20℃에서 용질 A 100g의 물에 녹인다고 생각하자. 3g을 넣었더니 모두 녹았고, 5g을 넣었더니 역시 모두 녹았다. 그런데 5g을 녹인 상태에서 소량을 더 넣었더니 녹지 않고 가라앉는 것이 생기기 시작했다면, 20℃에서 물 100g에 용질 A는 최대

5g 녹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어떤 용매에, 녹일 수 있는 최대량만큼의 용질을 녹여, 그 이상 용질을 가하면 가라앉기 시작하는 용액을 포화용액이라 한다. 20℃에서 5g의 용질 A가 녹은 105g의 용액은 포화용액인 것이다.

물질의 용해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의 고체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용해도가 증가한다. , 높은 온도에서는 더 많은 양의 용질이 녹을 수 있다. 만약 20℃에서 물 100g 5g의 용질 A를 녹여 포화상태가 된 용액을, 온도를 높여 60℃에 이르게 하면 용질이 더 녹을 수 있는 불포화용액이 된다. 60℃에서 용해도가 15g이라면, 10g의 용질 A를 더 녹여야 포화상태의 용액이 된다. 반대로, 20℃에서 용질 A를 녹여 만든 포화용액을 10℃의 온도로 낮추었다고 생각하자. 이때 용질 A의 용해도가 3g이라면, 2g의 용질 A가 가라앉게 될 것이다. 따라서 포화용액이란 표현은 온도가 함께 언급되어야 의미가 있다.

 

3.   Van 't Hoff equation

 화학적인 열역학에서의 반트호프 방정식(van 't Hoff equation)은 평형상수(K)의 온도(T)에 따른 변화정도가 엔탈피의 변화(ΔH)에 대하여 표현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방정식은 처음으로 야코뷔스 헨드리퀴스 판트호프에 의하여 증명되었다.

만약 반응열이 온도에 관한 상수라고 가정한다면, 온도 T1 T2 사이에서 위에 나타난 미분방정식에 대한 정적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K1 은 절대온도 T1 에서의 평형상수, K2 는 절대온도 T2 에서의 평형상수이다. 는 엔탈피의 변화, R은 기체상수이다.

따라서,

그리고,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평형상수의 자연로그와 온도의 역수값에 대한 그래프는 직선을 나타낸다. 이 직선의 기울기는 엔탈피 변화량를 기체상수로 나누어준 값 의 음의 값에 해당하고, 그 절편값은 엔트로피의 변화량을 기체상수로 나누어준 값 과 같다. 이 표현의 미분형태 식을 반트호프 방정식이라고 한다.

4.   용해열

 용해열

용질이 용매에서 용해될 때는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데, 물질 1몰이 과량의 용매에 완전히 용해할 때 출입하는 열을 용해열이라고 한다.

물질은 용해할 때 항상 열의 출입이 따른다. 화학반응에서 방출 또는 흡수되는 열을 반응열(heat of reaction)이라고 하고, 열이 방출되는 반응을 발열반응(exothermic reaction), 열이 흡수되는 반응을 흡열반응(endothermic reaction)이라고 한다. 특히 물질 1mol을 용매에 녹일 때 출입하는 열을 용해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염화암모늄이 물에 녹으면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내려간다. , 용질인 염화암모늄이 용매인 물에 녹으면서 열을 흡수하는데, 이때 흡수된 열이 용해열이다.(용액에서 용해되는 물질을 용질이라 하고, 용해시키는 물질을 용매라고 한다.)

흡열반응을 실생활에 응용한 예로 타박상 치료에 사용되는 휴대용 냉각대가 있다. 휴대용 냉각제에는 물이 새지 않는 2개의 주머니가 있으며 한쪽에는 물을, 다른 한쪽에는 질산암모늄을 넣는다. 물이 들어있는 주머니를 누르면 물이 나오게 되고, 흘러나온 물은 질산암모늄을 녹인다. 이 때 주위로부터 열을 뺏어가는 흡열반응이 일어나 냉각대의 역할을 한다.

기체의 경우 용해할때 일반적으로 열을 방출하지만, 액체나 고체가 녹을 때는 열을 방출하는 경우도 있고 흡수하는 경우도 있다.

용해열은 용매의 양에 의해서도 달라지므로 용매의 양을 밝혀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상온에서 염화칼륨 1mol을 물에 용해할 때 용해열이 4.05kcal(흡열)라고 할때 용매인 물의 양이 25mol이라는 것을 명시해야한다.

용해열은 적분용해열과 미분용해열의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적분용해열

1mol 물질이 일정량의 용매에 녹을 때까지 발하거나 흡수하는 총열량을 의미한다.

 

미분용해열

용해 과정의 각 순간에서의 용해열을 1mol당으로 나타낸 값, 다시 말하면 특정 농도의 용액의 무한대량 안에 그 용질 1mol을 녹일 때 출입하는 열을 그 농도에서의 미분용해열이라고 한다.

5.   참고 문헌

Oxalic acid

2개의 카복시기 -COOH가 결합된 가장 간단한 다이카복실산이다. 칼륨염 또는 칼슘염의 형태로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수산이라고도 한다. 화학식 C2H2O4. 무수물은 흡습성 고체로서 분자량 90.0, 비중 1.90(25℃)이다. 180∼190℃ 범위에서 분해되어 폼산,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를 만들고, 방치해 두면 2수화물이 된다. 2수화물은 101.5℃에서 융해되며, 녹는점 부근의 온도에서 결정수를 방출하여 다시 무수물로 변한다. 뜨거운 물에는 아주 잘 녹고 냉수 또는 에탄올에 잘 녹지만, 에테르 등의 유기용매에는 잘 녹지 않는다.

옥살산의 칼슘염은 사람이나 동물의 오줌 속에 항상 소량이 들어 있으나, 병이 있을 때는 증량되어 결석을 만든다. 셀룰로스에 진한 알칼리를 첨가한 다음 240℃ 이상으로 가열하는 방법, 설탕에 진한 질산을 작용시키는 방법, 폼산나트륨을 가열 및 탈수소시키는 방법 그리고 시트르산 발효 때의 부산물로서 회수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얻는다. 옥살산은 염료의 원료로 쓰이고, 밀짚이나 무명 등의 표백제로서 이용된다. 또한 2수화물을 순수하게 얻을 수 있는 점을 이용하여 산·알칼리적정 및 산화환원적정 등에 표준물질로 쓰인다.

 

기구 및 시약

기구

시약

water bath

뷰렛

평량병

비커 100ml, 250ml

삼각 플라스크 100ml, 250ml

0.25N Oxalic acid

0.25N NaOH

평량병             Water bath                             뷰렛

 

실험방법

Solution preparation

0.25N oxalic acid(옥살산) solution 50ml 제조.

0.25N NaOH 100ml 제조.

③ 옥살산 용액을 NaOH 용액으로 적정. → NaOH의 정확한 농도 측정.

 

적정법에 의한 고체의 용해도 결정

40℃에서 옥살산 포화용액 100ml 제조.

② 항온수조에서 20분간 유지.

    (1~3 : 35℃, 4~6 : 25℃, 7~9 : 상온, 10, 11 : 0℃) 

③ 빈 평량병의 무게측정 후 5ml씩 두 번 채취하여 평량병으로 무게측정.(평균값 사용)

④ 각 온도에서 옥살산 5ml를 취하여 증류수 95ml를 넣고 0.25N NaOH로 적정.

 

Reperence

u  네이버 백과사전, 용해도, 090421            http://100.naver.com/100.nhn?docid=118588

u  네이버 백과사전, 포화용액, 090421                   http://100.naver.com/100.nhn?docid=182435

u  위키백과, van 't Hoff equation, 090421 http://ko.wikipedia.org/wiki/%EB%B0%98%ED%8A%B8%ED%98%B8%ED%94%84_%EB%B0%A9%EC%A0%95%EC%8B%9D

u  네이버, oxalic acid, 090421                           http://100.naver.com/100.nhn?docid=116383


Posted by Mr크리스티앙 :

액체의 점도

황정현, 박기훈, 전국진, 유상일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물리화학실험 야간2

 

목적

1.     Ubbelohde viscometer(점도계)를 이용하는 법을 알아보자.

2.     Viscometer constant Ea를 구하여 본다.

-Mark-Houwink-Sakurada식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론적 배경

1.    점도

점성률 점도라고도 한다. 유체의 점성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값이다. 흐름방향 x축에 직각인 y축 방향에서 유속 υ에 변화가 있을 때 x축에 평행인 면 안에 유체의 속도기울기에 비례하는 변형력 X=η∂υ/∂y가 작용한다. 이때 비례상수 η가 점성도이다.

일반적인 단위는 kg/m·s 또는 Pa·s로 표시한다. 그 외에도 CGS 단위계로는 g/cm·s를 사용하는데 1g/cm·s 1poise(푸아즈)라고 하며, 1P로 표시한다. 또한 푸아즈의 100분의 1 centi-poise(cP)라고 하며, 실험실에서 점도의 단위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1 poise =1g/cm·s =100cP =0.1kg/m·s로 표시할 수 있으며, 1cP =0.01g/cm·s =0.00672Ibm/ft·s =2.42Ibm/ft·hr로 표시한다. 국제단위계 단위로는 뉴턴초매제곱미터(N·s/)를 사용한다.

간단하게 설명 하자면

흐르는 물체의 내부에 생기는 저항 = 흐름에 대한 저항성

분자량보다는 분자의 크기를 재는 간접적인 방법

단위 : poise (1 poise = 100cp = dyne. s/cm2 = g/s. cm)

Size가 클수록 분자량이 커지고 점도가 높아짐고분자

2.    점도의 측정

 한 종의 액체가 다른 층의 액체를 지날 때 겪는 저항을 점성도 또는 점도라 한다.

보통의 경우 유동성이 큰 액체인 물은 유동성이 작은 액체인 타르보다 점도가

작다라고 한다. 액체가 고체의 관을 흘러갈 때 관표면에 접해서 이동하는 액체의

경우 정지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때 난류나 소용돌이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

흐름을 층류라 하며 일정 방향의 벡터를 가진다. 점도는 층류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층류에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려고 하는 성질을 점도라 한다.

점도는 SI 단위계에서 kg m-1 s-1 ≡ Pa s로 나타내며 흔히 Poise로도 나타내기도

한다. 이때 Poise단위는 1 Poise = 1 g cm-1 s-1로 나타낸다.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 Ostwald 점도계법

  - 공 낙하법

  - 동심 실린더 점도계법

참고적으로 공 낙하법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점성을 가진 액체 내에서 구의

자유낙하를 식으로 표현하면 식 (3-1)과 같다.

ut = [ m(1-Vρ)g ] / f   (3-1)

이때 f = 6πηr 인 구를 Stokes 방정식으로 치환해 보면 식 (3-2)와 같다.

η = [ m(1-Vρg) ] / 6πrut   (3-2)

그러므로 한 액체의 점도 η는 그 액체를 통과는 구의 자유낙하 종말속도 ut

측정함으로 얻을 수 있다. 두 액체인 η1, η2의 점도는 식 (3-3)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V는 구의 부피이다.

η2 / η1 = ( 1-Vρ2Ut1 ) / ( 1-Vρ1Ut2 )   (3-3)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점도를 구하는 것이 유체가 모세관을 흐르는 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는 것으로 그림 3-1과 같은 Otswald 점도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림 3-1. Ostwald 점도계

그림 3-1에서와 같이 Mark1에서 Mark2로 낙하하는 액체의 시간 t를 측정하여 식

(3-4)에 대입하여 점도를 얻는 방법이 Otswald 점도계법이다. Poiseuille법칙에

의하면,

η = ( π4rρgtΔh ) / 8ℓV   (3-4)

이때 r은 모세관 반지름, ρ는 액체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 t는 시간, ℓ

모세관의 길이, V는 두 표시 사이의 액체의 부피, Δh는 두 액체 계면 사이의 높이

차이의 대수 평균값이다.

Δh = ( Δh1-Δh2 ) / ln(Δh1/Δh2)   (3-5)

두 액체에 대한 점도의 비는 식 (3-6)과 같다.

η2 / η1 = ρ2t2 / ρ1t1   (3-6)

3.    점도의 종류

 

4.    참고문헌

 Ostwald 점도계 사용법

Ostwald 점도계로 액체의 점도를 측정하는 과정

1. Ostwald 점도계를 깨끗히 씻습니다. 점도는 매우 민감한 특성이기 때문에 점도계 벽면에 다른 물질이 묻어 있으면 측정값의 오차가 매우 커질 수 있습니다.

2. 먼저 기준 액체를 비이커를 이용해 점도계의 모세관이 없는 쪽에 윗 그림의 C 부분이 다 채워질 만큼 넣습니다.

3. 피펫 필러를 이용해 액체를 a 선 위쪽까지 끌어 올립니다. 이 때 측정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액체를 높이 끌어 올립니다. 과거에는 입으로 빨아서 올리기도 했었는데 매우 위험한 방법입니다.

4. 피펫 필러를 열어서 액체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하면서 액체의 액면이 a 선에서 b 선 사이를 지나는 시간(유출시간)을 스톱워치로 측정합니다.

5. 이 실험을 5회 가량 반복하여 평균 시간을 구합니다.

6. Ostwald 점도계를 깨끗히 씻습니다.

7. 이번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액체(시료액체)를 이용해 2~5의 과정을 반복합니다.

8. 기준 액체의 유출시간을 t0, 시료 액체의 유출 시간을 t 라고 하였을 때 시료 액체의 비점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점도(ηsp) = ( t - t0 ) ÷ t

 

기구 및 시약

기구

시약

water bath

점도계

Cyclohexane

Hexane

Benzene

  Water bath                             점도계

 

실험방법

30℃ 항온수조에서 cyclohexane, hexane. Benzene의 순서로 flow time(t) 측정.

    (3~5회 실시, 오차범위 :0.3)

35℃, 40℃에서 benzene flow time(t) 측정.

η/d = at + b/t 에 대입하여 η 계산.

η = η0 exp(-Ea/RT) → ln η = ln η0 - Ea/RT 에서 Ea계산.

Reperence

u   이익춘, 박영자, 물리화학실험, 탐구당, 1983. P. 49

u   김규홍, 성용길, 물리화학, 자유아카데미, 1987. P. 237

u   황정의, 김양, 물리화학, 희중당, 1985. P. 350

u   안운선, 물리화학, 일신사, 1981. P. 268

u   김우식, 단위조작 실험, 삼광출판사, 1970. P. 96

u   네이버 지식인,  점도계, 090421               http://ask.nate.com/qna/view.html?n=5239104&sq=%C1%A1%B5%B5%B0%E8

u  네이버 백과사전, 점도, 090421                   http://100.naver.com/100.nhn?docid=135503


Posted by Mr크리스티앙 :